728x90
메모리 덤프를 진행하기에 앞서 먼저 기기와 PC에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.
* iOS기기 준비
1. 탈옥하기
이전 글 참고(https://error-fighter.tistory.com/80)
2. 프리다(frida) 설치하기
Cydia 앱 접속 ► 하단에 "소스" 탭 ► 우측 상단 "편집" 클릭 ► 왼쪽 상단 "추가" 클릭 ►
https://build.frida.re 입력 후 "소스 추가" 클릭 (frida 또는 frida for 32bits device)
* PC 준비
1. pip 설치하기
$ sudo easy_install pip
2. python3 설치하기
$ brew install python3
3. 프리다3(frida3) 설치하기
$ pip3 install frida-tools
4.프리덤프3(fridump3) 설치하기
https://github.com/rootbsd/fridump3 에서 프로젝트를 클론받는다.
5. fridump3.py파일 수정하기
앱이름 대신 pid로 인식시키기 위해 attach(APP_NAME)를 attach(int(APP_NAME))으로 수정한다.
<수정 전>
# Start a new Session
session = None
try:
if USB:
session = frida.get_usb_device().attach(APP_NAME)
elif NETWORK:
session = frida.get_device_manager().add_remote_device(IP).attach(APP_NAME)
else:
session = frida.attach(APP_NAME)
except Exception as e:
print(str(e))
sys.exit()
<수정 후>
# Start a new Session
session = None
try:
if USB:
session = frida.get_usb_device().attach(int(APP_NAME)) # 수정한 코드
elif NETWORK:
session = frida.get_device_manager().add_remote_device(IP).attach(APP_NAME)
else:
session = frida.attach(APP_NAME)
except Exception as e:
print(str(e))
sys.exit()
5. fridump 실행하기
- 탈옥폰 연결 : 탈옥폰에 usb로 연결한 후 테스트할 앱을 실행한다. 연결이 잘 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fridump3 디렉토리에 들어가서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한다.
$ frida-ls-devices
- PID 확인 : 덤프를 뜨려면 실행하는 앱의 PID가 필요하다.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PID를 확인한다.
$ frida-ps -Uai
- 메모리 덤프 시작 :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PID에 대한 메모리 덤프를 시작한다. 명령어를 입력하면 dump 디렉터리가 생성된다.
$ python3 fridump3.py -u -r [PID] -s
-o 디렉터리를 지정해주는 옵션
-u usb를 이용하여 단말기와 연결했을 때
-H wifi로 연결했을 때
-v 상세 과정표시
-r read-only 데이터들도 덤프를 함 (훨씬 더 많은 데이터들을 덤프)
-s 텍스트 데이터들을 txt파일로 저장해주는 옵션
# 참고
반응형
'개발 공부 > iO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iOS] 최대한 간편하게 아이폰 탈옥하기(altServer, altStore, unc0ver) (2) | 2024.09.05 |
---|